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2)
업비트·빗썸 렌딩서비스 대폭 축소 그 배경과 파장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대표 주자인 업비트와 빗썸이 최근 렌딩(대출) 서비스를 잇따라 축소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코인을 담보로 한 ‘렌딩서비스’는 적은 자본으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아왔지만, 투자자 보호 장치가 미비하다는 이유로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서비스 변경을 넘어, 국내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 기조와 투자 패러다임 변화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럼 왜 지금, 어떤 배경에서 렌딩 서비스가 조정되고 있는지, 그리고 투자자들이 앞으로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금융당국 경고 이후, 거래소들의 신속한 대응렌딩 서비스에 대해 금융당국은 줄..
가상자산 ETF 정말 도입해도 되는걸까? 시장이 갖춰야 할 조건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세금이나 규제 대신 가상자산 ETF를 허용하면 시장에 새로운 활력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반면, 전문가들은 “파생시장·수탁 인프라·시장 왜곡 해소 장치가 갖춰져야 한다”며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는데요. 실제로 자본시장법상 기초자산 인정부터 거래·수탁 시스템, 그리고 ‘김치 프리미엄’ 같은 국내 시장 특유의 이슈까지 짚어 봐야 할 사안이 많습니다. 오늘은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네 가지 조건을 4개의 소제목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법적 기초자산 인정: 제도 정비가 첫걸음ETF는 기초자산의 가격을 추종해 투자자에게 수익을 돌려주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가상자산을 ETF 기초자산으로 사용하려면 자본시장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