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연속 흑자, 쏘카의 의미 있는 전환점
국내 카셰어링 시장의 대표주자 쏘카가 올해 2분기까지 무려 4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실적은 매출 987억 원, 영업이익 18억 원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수익성 면에서 확실한 성과를 보여줬습니다.
최근 4개 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09억 원으로, 이는 작년 같은 기간 대비 346억 원이나 개선된 수치입니다. 단순한 분기별 반짝 실적이 아니라, 사업 구조 전반의 체질 개선이 만들어낸 안정적인 성장 곡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카셰어링 사업, 데이터 기반 효율화로 역대 최고 성과
쏘카의 이번 실적 개선을 견인한 핵심은 단연 카셰어링 부문입니다. 2025년 2분기 카셰어링 매출총이익은 187억 원, 매출총이익률은 24.1%로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정교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차량 재배치 전략이 있었습니다. 수익성이 낮은 차량과 지역은 과감히 축소하고, 예약 수요가 높은 지역과 시간대에 차량을 집중 배치해 운영 효율을 극대화했습니다.
이 전략은 가동률과 매출 모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단기 카셰어링 차량 가동률은 38%로 2분기 기준 역대 최고를 달성했고, 대당 매출은 전년 대비 13% 이상 증가했습니다. 단순히 차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같은 자원으로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진화한 것입니다.
구독형 서비스 ‘쏘카플랜’, 첫 흑자 전환
과거 적자 사업으로 평가받던 월 단위 차량 구독 서비스 쏘카플랜도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올해 2분기 매출총이익 5억 5천만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죠.
특히 주목할 점은 1분기 대비 운영 차량이 16%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유지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차량 회전율과 유지비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이며, 구독 서비스가 쏘카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장기 대여와 단기 카셰어링 간의 시너지, 그리고 구독 서비스 특유의 충성 고객 확보 효과가 앞으로 더욱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하반기 전략, 서비스 혁신과 매출 다변화
쏘카 박재욱 대표는 상반기 수익성 개선을 토대로 하반기에는 보다 과감한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우선 요금 체계 전면 개편을 통해 이용자의 가격 만족도를 높이고, UI·UX 전면 개선으로 예약 과정과 사용 편의성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기존 플랫폼 외에도 다양한 판매 채널을 확장해 신규 매출원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이를 통해 카셰어링의 핵심 고객층을 넘어 새로운 수요층까지 끌어들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무엇보다 올해를 ‘구조적인 당기순이익 전환과 주주가치 실현의 원년’으로 선언하며, 단기 실적뿐 아니라 장기적 기업 가치 제고에 집중할 방침입니다.
쏘카는 단순한 차량 대여 업체를 넘어, 데이터 기반 운영·서비스 혁신·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4분기 연속 흑자라는 성과는 시장 내 신뢰를 높이고, 투자자에게도 긍정적인 시그널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쏘카가 하반기 전략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실행해 주주가치 실현을 실제 성과로 연결시킬지, 업계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경제 뉴스 > 경제 투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마홀딩스, 영업이익 15%↑·순이익 265%↑…매출은 왜 줄었나? (1) | 2025.08.15 |
---|---|
청주공항, 지방의 한계를 뛰어넘다! 국제선 100만 명 시대의 비밀 (1) | 2025.08.15 |
삼성생명, 요양 자회사 설립 승인…시니어 리빙사업 확장 본격 시동 (7) | 2025.08.14 |
쏘카, 4분기 연속 흑자…주주가치 실현 원년 가능성은? (5) | 2025.08.13 |
국내 1위 크리넥스, 3000억 매각 딜 가시화…누가 새 주인 될까? (7) | 2025.08.13 |